google-site-verification=DlDGpO6RCJ4iZ19O--8Y2Nftiw28OeHBIoFW_tuDjdw
본문 바로가기

지리학의 이해31

지반운동과 해안지형 해안침식지형 해안퇴적지형 지반운동과 해안지형 육지는 일반적으로 기복이 커서 지반이 침강하면 해안선이 복잡해진다. 구릉지는 반도로 돌출하거나 섬으로 떨어져 나가고, 골짜기는 바닷물이 들어와 만 또는 하구가 나팔 모양으로 벌어진 익곡으로 변한다.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과 같이 해안선의 출입이 특히 심한 침강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이라고 한다. 전라남도의 해안을 중심 한 다도해는 리아스식 해안의 세계적인 예로 꼽힌다. 육지에 인접한 대륙붕의 지형은 상당히 평평하다. 그래서 지반이 융기하여 대륙붕의 일부가 육지로 드러나는 해안, 즉 융기해안은 단조로운 편이다. 동해안이 비교적 단조로운 것은 태백산맥과 함경산맥이 다가서 있고, 또 지반이 융기했기 때문이다. 융기해안의 보편적인 지형은 해안단구이다. 좁건 넓건 해면과 관련하여 형성된 해안의.. 2023. 4. 15.
파랑과 조석 파랑의 운동 파랑과 조석 파랑은 바람이 해수면에 일으키는 파동현상으로서 일단 생기면 앞으로 계속 전진한다. 강풍이 불 때는 파랑이 크게 일면서 바다가 거칠어지는데 바람의 영향권 안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모양의 파랑을 풍파라고 한다. 풍파는 풍속이 빠를수록, 바람이 오래 불수록, 바람이 먼 거리를 불수록 커진다. 조석은 달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일어나는 바닷물의 운동을 말한다.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에서는 밀물과 썰물이 하루에 두 번씩 규칙적으로 반복된다. 밀물이 들어와 해면이 높아지면 그것을 고조 또는 만조, 들어왔던 물이 써서 해면이 낮아지면 그것을 저조 또는 간조라고 한다. 조차란 고조와 저조의 수위차를 가리킨다. 지구와 달과 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이는 보름 및 그믐 중심의 기간에는 달과 태양의 기조력이 지구에 .. 2023. 4. 14.
구조토의 종류와 성인 구조토의 종류 구조토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영구동토층의 얼음쐐기다각구조토도 그중의 하나이다. 암설의 분급을 동반한 구조토는 식생이 없는 나지에서 형성되며, 환상 구조토, 다각상 구조, 호상구조토등으로 나뉜다. 이와 같은 구조토는 툰드라뿐만 아니라 중위도와 저위도의 고산지대에도 널리 형성되어 있다. 환상구조토와 다각구조토, 호상구조토 환상구조토는 조립암설이 세립암설을 둥글게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개별적으로나 집단적으로 발달한다. 이의 발달이 탁월한 스피츠베르겐섬의 경우 세립암설이 쌓인 부분은 약간 오목하고 지름이 0.8~3.0m로 나타난다. 다각구조토는 큰 돌들이 다각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세립암설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며, 변의 수가 4~6개이고, 지름이 10m 이상인 것도 있으나.. 2023. 4. 14.
주빙하기후와 주빙하지형 주빙하기후 기후가 매우 한랭하거나 동결과 융해가 자주 반복되는 지역에서 발달하며, 주빙하지형을 발달시키는 기후를 주빙하기후라고 한다. 동결과 융해는 하루의 기온이 0ºC 를 오르내리는 이른 봄과 늦가을에 자주 반복되며, 그 빈도는 기후가 한랭할수록 높게 나타난다. 영구동토층이 분포하는 툰드라는 대표적인 주빙하지역이다. 북극해 연안의 툰드라에서는 지온이 연중 0ºC 이하로 유지되는 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층을 영구동토층이라고 한다. 영구동토층은 활동층으로 뎦여 있다. 활동층이란 여름에 녹고 겨울에 어는 지표면의 얇은 층을 가리킨다. 주빙하 기후에서의 주빙하지형 토빙 토빙이란 토양층 또는 퇴적층에 형성되어 있는 각종 형태의 얼음을 가리킨다. 토빙은 활동층과 영구동토층에 두루 나타나지만 이에 국한.. 2023.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