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DlDGpO6RCJ4iZ19O--8Y2Nftiw28OeHBIoFW_tuDjdw
본문 바로가기

토양포행2

사면의 유형과 발달 사면의 유형과 발달 단애 또는 절벽은 내용이 아주 단순한 사면이다. 파식을 활발하게 받은 해안(해식애), 깊은 골짜기를 흐르는 하천의 공격면, 빙하의 침식을 받은 산지에 널리 분포하며, 그 밖의 곳에서도 볼 수 있다. 단애는 경사가 급해서 기반암에서 분리되는 암설이 제자리에 머무르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진다. 단애의 일반적인 특성은 노암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경사가 40 º 를 넘는 사면은 단애로 간주된다. 단애에서 떨어지는 암설은 흔히 그 밑에 쌓여 애추를 형성한다. 애추의 경사는 암설의 안식가가에 의해 결정되며, 단면이 직선상이다. 사면의 유형 산정에서 골짜기로 뻗어 내린 하나의 사면을 보면, 일반적으로 산정부는 볼록하고 산록부는 오목하며, 그 사이에 직선상의 구간이 끼어 있다. 볼록한 부분과 오목.. 2023. 4. 3.
사면의 경사와 매스무브먼트의 종류: 솔리플럭션 토석류 암석애벌런치 낙하 사면의 경사와 매스무브먼트 매스무브먼트란 사면의 암설이 유수, 바람, 빙하 등과 같은 기구의 개입 없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매스무브먼트라고 한다. 매스무브먼트는 사면의 경사가 급할수록 활발하게 일어난다. 매스무브먼트의 종류 유동성 운동에는 느린 유동성 운동과 빠른 유동성 운동이 있다. 느린 유동성 운동에는 토양포행이 있다. 사면의 토양이 극히 느리게 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토양포행이라고 한다. 습윤기후지역 중에서도 기온과 강수의 계절적 변동이 심한 지역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토양이 얼었다가 녹을 때나, 물을 먹었다가 마를 때는 팽창했다가 수축한다. 겨울에 토양층에서 자라는 서릿발의 역할도 중요하다. 서릿발은 토양의 표층을 거의 일률적으로 들어 올리는데 토양이 팽창할 때는 사면에 대하여 직각.. 2023.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