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각호2 하천의 회춘 .하안단구. 감입곡류하천 하천의 회춘 하천의 회춘이란 하천의 하방침식이 부활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하천이 회춘하면, 장년기 이후의 넓은 골짜기에 유년기에 해당하는 v자형의 좁은 골짜기가 파여 두 침식단계의 지형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침식기준면의 변동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하천의 회춘현상은 하류에서 시작하여 점차 상류로 옮아가며, 이로 인해 하구 기점의 새로운 하천종단면과 상류쪽의 기존 하천종단면은 경사가 급변하는 천이점을 사이에 두고 만나게 된다. 천이점에서는 하천이 급류를 이루면서 빨리 흐르기도 하고 폭포를 이루면서 떨어지기도 한다. 첨이점이 상류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상이 깊게 파이면 하천 연안의 범람원은 하안단구로 변한다. 이러한 경우 하안단구는 천이점 하류에서만 볼 수 있다. 하안단구 하안단구는 범람원보다 지면이 .. 2023. 4. 10. 정규침식윤회의 정의와 발달과정 정규침식윤회의 정의 미국의 데이비스는 온난습윤기후지역에서 주로 유수에 의해 진행되는 침식윤회를 정규침식윤회라고 규정하고, 이를 지표의 기복이 유년기, 정년기, 노년기 등 일정한 방향을 따라 밟아가는 진화의 기본으로 삼았다. 건조기후지역이나 빙설기후지역에서는 지표의 삭박과정에서 유수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거나 유수 이외의 기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후지역의 지형은 우리가 살고 있는 온난습윤기후지역의 지형과 여러 면에서 상당히 다른데, 데이비스 학파의 지형학자들은 건조기후나 빙설기후를 정규적이 아닌 기후, 즉 기후적 사변에 의한 기후로 간주했다. 빙식지형의 발달과정을 기술할 때 온난습윤 기후지역의 산지를 원초적인 지형으로 제시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정규침식윤회를 설명하기 위해 데이.. 2023. 4.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