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DlDGpO6RCJ4iZ19O--8Y2Nftiw28OeHBIoFW_tuDjdw
본문 바로가기

지리학의 이해31

풍화작용과 지형 화강암의 절리 풍화작용과 지형 구릉지의 기슭에서 집터를 닦을 때 형체는 바위인 데도 푸석푸석해서 삽으로도 파이는 풍화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면 일하기가 쉬워진다. 바위가 푹 썩어 있는 이와 같은 풍화층을 새프롤라이트라고 하며, 우리는 이것을 '석비레'라고 부른다. 새프롤라이트는 화성암과 변성암에 두루 나타나지만 화강암의 것이 인상적이고, 열대습윤지역에서는 그 두께가 100m를 넘는 수도 있다. 기반암이 두껍게 풍화작용을 받는 현상을 심층풍화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평야 주변에 분포하는 해발고도가 아주 낮은 화강암의 구릉지는 대개 풍화층이 두껍다. 이와 같은 풍화층은 우리나라의 기후가 지금보다 고온다습했을 때 심층풍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간주된다. 화강암의 절리 서로 직교하는 수직절리와 수평절리에 의해 수많은 블록으로.. 2023. 4. 29.
지형의 형성작용과 기구 지형의 형성작용과 기구 지형은 영력에 의해 형성된다고 흔히 일컬어진다. 영력이란 영어의 process를 번역한 용어이다. processs는 단순히 '작용'또는 '과정'을 의미하며 힘의 뜻은 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영력의 예로는 유수,빙하,바람, 파랑 등이 언급된다. 이러한 것들은 에너지 또는 힘을 가지고 각종 지형을 만들어 나가기 때문에 영력이란 용어의 의미에 부합한다. 그러나 유수, 빙하, 바람, 파랑 등은 지표의 물질을 침식, 운반, 퇴적하는 매개체이지 process가 아니다. 영어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agent 또는 agency라고 하며, 기구는 이것을 번역한 용어이다. 지구의 외적작용 앞에서와 같은 여러 기구는 에너지의 근원이 태양의 복사열에 있으며, 이들 기구에 의한 지형의 형성작용은 외적작.. 2023. 4. 25.
지형학의 정의와 주요분야 발달 지형학의 정의 지형학은 글자 대로 풀이하면 땅의 모양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일반적으로 지형학은 지표의 기복을 기술하고 해석하는 과학이라고 일컬어진다. 지구의 기복을 연구하는 과학이라고도 한다. 지형의 특성은 기복에 의해 결정된다. 들쭉날쭉한 정도를 가리키는 기복이라는 말은 지형과도 통하는데, 지형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는 지형은 육지의 지형에 거의 한정되어 있고, 그 규모가 작은 것이 보통이다. 지형학은 현대적인 과학으로 확립된 이후 주로 지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지형학에서 소규모의 지형에 관심을 많이 보이는 까닭은 우리 주변의 지형이 그러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산이나 골짜기 또는 평야는 소규모의 지형이고 이러한 지형은 환경의 일부로서 인간생활과의 관계가 밀접하다. 지형학의 주요 분야 첫.. 2023. 4. 23.
침식윤회의 중단과 하안단구 침식윤회의 중단 실제의 지형이 한 번의 침식윤회를 마치는 과정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중단 없이 평탄화작용을 받는 경우는 드물다. 한 번의 침식윤회가 끝날 때까지 장구한 기간에 걸쳐서 지반이 고정되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천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침식윤회의 일시적 중단현상은 지반이 소폭으로 융기할 때 일어난다. 지반은 고정되어 있고 해면이 하강할 때도 동일하 현상이 일어난다. 하천은 장년기에 접어들면 하방침식이 둔화되며, 측방침식에 의하여 골짜기를 넓히면서 범람원을 형성한다. 하천 연안에 범람원이 형성된 후에 지반이 융기하거나 하강하면, 하천은 새로운 침식기준면을 향해 하방침식이 활발히 재개하게 된다. 하천의 회춘이란 하천의 하방침식이 부활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하천이 회춘되면 장년기 이후의 넓은 골짜기.. 2023.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