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침식2 하천의 침식작용 하천의 침식방향 하천이란 크기와는 관계없이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물을 가리킨다. 하천의 침식작용 하도 양안에서 토사를 제거하거나 하상의 기반암을 깎아내는 하천의 침식작용을 간단히 하식이라고 한다. 하천은 하상이나 하도 양안에 수압을 가해서 토사를 흡취, 제거한다. 수압, 즉 물살에 의한 침식은 범람원을 관류하는 하천에서 활발히 일어나며, 그 결과는 하천의 유로변동으로 나타난다. 범람원은 하천의 토사로 이루어져 물살에 의한 침식을 잘 받는다. 홍수시에 하천의 물이 누렇게 변하는 것은 하천이 토사를 많이 흡취, 운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절리로 많이 갈라진 기반암이 하상에 드러나 있으면, 암괴가 물살을 받아 기반암에서 뜯겨져 나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의 침식을 굴식이라고 한다. 마식이란 하천의 침식작용에서 일반적으로.. 2023. 4. 5. 지표유출과 토양침식 지표유출과 토양침식에 대해서. 집중호우가 내리면 많은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하기 전에 지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데, 이것을 지표유출이라고 한다. 지표유출은 두 유형으로 나뉜다. 비교적 평평한 땅에서는 빗물이 넓게 퍼지면서 포상류로 흐르고, 토양이 노출된 경사지에서는 가느다란 물길을 많이 파면서 릴류로 흐르는 것이 보통이다. 릴류의 물길은 아주 작아 온대지방에서는 겨울을 지나는 동안에 동결, 융해에 의한 토양의 요동으로 지워져 버린다. 이러한 점에서 그것은 계절적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지표유출에 의해 토양 또는 토사가 지표면에서 제거되는 것을 우세라고 한다. 우세는 포상류에 의한 포상침식과 릴류에 의한 릴침식으로 나뉜다. 그리고 지표면에서 토양이 깎여 나가는 것을 토양침식이라고 한다... 2023. 4.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