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안단구2 침식윤회의 중단과 하안단구 침식윤회의 중단 실제의 지형이 한 번의 침식윤회를 마치는 과정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중단 없이 평탄화작용을 받는 경우는 드물다. 한 번의 침식윤회가 끝날 때까지 장구한 기간에 걸쳐서 지반이 고정되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천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침식윤회의 일시적 중단현상은 지반이 소폭으로 융기할 때 일어난다. 지반은 고정되어 있고 해면이 하강할 때도 동일하 현상이 일어난다. 하천은 장년기에 접어들면 하방침식이 둔화되며, 측방침식에 의하여 골짜기를 넓히면서 범람원을 형성한다. 하천 연안에 범람원이 형성된 후에 지반이 융기하거나 하강하면, 하천은 새로운 침식기준면을 향해 하방침식이 활발히 재개하게 된다. 하천의 회춘이란 하천의 하방침식이 부활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하천이 회춘되면 장년기 이후의 넓은 골짜기.. 2023. 4. 22. 하천의 회춘 .하안단구. 감입곡류하천 하천의 회춘 하천의 회춘이란 하천의 하방침식이 부활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하천이 회춘하면, 장년기 이후의 넓은 골짜기에 유년기에 해당하는 v자형의 좁은 골짜기가 파여 두 침식단계의 지형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침식기준면의 변동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하천의 회춘현상은 하류에서 시작하여 점차 상류로 옮아가며, 이로 인해 하구 기점의 새로운 하천종단면과 상류쪽의 기존 하천종단면은 경사가 급변하는 천이점을 사이에 두고 만나게 된다. 천이점에서는 하천이 급류를 이루면서 빨리 흐르기도 하고 폭포를 이루면서 떨어지기도 한다. 첨이점이 상류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상이 깊게 파이면 하천 연안의 범람원은 하안단구로 변한다. 이러한 경우 하안단구는 천이점 하류에서만 볼 수 있다. 하안단구 하안단구는 범람원보다 지면이 .. 2023. 4.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