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DlDGpO6RCJ4iZ19O--8Y2Nftiw28OeHBIoFW_tuDjdw
본문 바로가기
지리학의 이해

지형의 형성작용과 기구

by 책의정원 2023. 4. 25.

지형의 형성작용과 기구

지형은 영력에 의해 형성된다고 흔히 일컬어진다. 영력이란 영어의 process를 번역한 용어이다. processs는 단순히 '작용'또는 '과정'을 의미하며 힘의 뜻은 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영력의 예로는 유수,빙하,바람, 파랑 등이 언급된다. 이러한 것들은 에너지 또는 힘을 가지고 각종 지형을 만들어 나가기 때문에 영력이란 용어의 의미에 부합한다. 그러나 유수, 빙하, 바람, 파랑 등은 지표의 물질을 침식, 운반, 퇴적하는 매개체이지 process가 아니다. 영어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agent 또는 agency라고 하며, 기구는 이것을 번역한 용어이다. 

지구의 외적작용

앞에서와 같은 여러 기구는 에너지의 근원이 태양의 복사열에 있으며, 이들 기구에 의한 지형의 형성작용은 외적작용이라고 한다. 지형은 지각변동이나 화살활동에 의해서도 형성된다. 지각변동이나 화산활동은 지구 내부의 열순환과 관련하여 발생하며, 이에 의한 지형의 형성작용을 내적작용이라고 한다. 외적작용과 내적작용은 '외적영력' 및 '내적영력'이라고 불러오던 것이다. 한편 거대한 운석이 땅에 떨어지면 화산의 분화구처럼 생긴 운석공이 파인다. 운석의 작용은 지구외적작용이라고 한다. 

각종 기구는 침식 및 퇴적작용을 통해서 지표면을 하나의 공통적인 수준 또는 높이로 이끌어가는 역할을 한다. 이것을 평형작용이라고 한다. 평형작용은 외적작용과 같은 것으로서 지표면을 낮추는 삭평형작용과 그것을 높이는 적평형작용으로 나뉜다. 삭박 또는 삭작작용은 삭평형작용과 의미가 거의 같다. 

풍화작용은 지표면을 낮추는 데 직접 관여하지 않지만 암석을 파괴하여 침식을 돕기 때문에, 매스무브먼트는 기구의 개입없이 일어나지만 지표면을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삭평형작용에 포함된다. 한편 각종 생물도 지형의 형성에 참여하며, 산호충에 의한 열대해역의 산호초가 대표적인 예이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오늘날 인간은 대단히 활발하게 그리고 급속하게 지표를 변형시켜 나가고 있다. 그래서 인간과 그밖에 생물의 작용이 따로 분류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