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DlDGpO6RCJ4iZ19O--8Y2Nftiw28OeHBIoFW_tuDjdw
본문 바로가기
지리학의 이해

지형학의 정의와 주요분야 발달

by 책의정원 2023. 4. 23.

지형학의 이미지

지형학의 정의

지형학은 글자 대로 풀이하면 땅의 모양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일반적으로 지형학은 지표의 기복을 기술하고 해석하는 과학이라고 일컬어진다. 지구의 기복을 연구하는 과학이라고도 한다. 

지형의 특성은 기복에 의해 결정된다. 들쭉날쭉한 정도를 가리키는 기복이라는 말은 지형과도 통하는데, 지형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는 지형은 육지의 지형에 거의 한정되어 있고, 그 규모가 작은 것이 보통이다. 지형학은 현대적인 과학으로 확립된 이후 주로 지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지형학에서 소규모의 지형에 관심을 많이 보이는 까닭은 우리 주변의 지형이 그러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산이나 골짜기 또는 평야는 소규모의 지형이고 이러한 지형은 환경의 일부로서 인간생활과의 관계가 밀접하다. 

지형학의 주요 분야

첫째, 암석과 기복의 관계를 연구한다. 

화강암지역에 침식분지가 형성되고, 석회암지역에 석회동굴과 돌리네가 발달하는 것과 같은 현상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다. 지구의 표층인 지각은 각종 암석으로 이루어졌다. 암석은 종류에 따라 풍화와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다르고, 지표의 기복은 암석의 차별적 풍화와 침식을 반영한다. 때문에 기복의 형성에서 암석이 차지하는 몫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 문제는 근대지형학의 발달 초기부터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둘째, 기복의 진화를 연구한다. 

기복의 진화를 연구할 때는 현재의 지형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밝히려고 시도한다. 이른바 지형윤회의 내용은 지형이란 단계별로 일정한 방향을 따라 진화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침식기준면이나 기후와 같은 외적요인이 변동하면 지환의 방향에 변화가 일어난다. 그래서 한편에서는 침식기준면의 변동 또는 지반운동과 관련된 단구나 평탄면의 발달과 그 편년 다른 한편에서는 과거의 기후가 현재의 지형에 미친 영향을 밝히려고 노력한다. 

셋째, 지형의 발달을 이끌어가는 각종 기구의 작용을 연구한다. 지형은 풍화작용과 더불어 유수, 바람,빙하, 파랑 등의 기구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기구가 수행하는 작용을 파악하려면, 기구 자체에 대한 이해가 우선 필요하다. 

넷째, 현재의 시점에서 지형의 발달에 미치는 기후의 영향을 연구한다. 지형의 발달을 이끌어가는 각종 기구의 작용은 기후에 따라 다르게 펼쳐진다. 습윤지역과 건조지역, 열대지방과 한대지방의 지형은 전반적으로 기후의 차이를 현저하게 반영한다. 기후와 관련된 지형은 주제별로 다루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세계의 주요 기후 지역별로 지형의 형성작용과 발달을 체계화하여 기후지형학을 확립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지형학의 발달

고대와 중세

대부분의 다른 학문과 마찬가지로 지형학도 서양을 중심으로 발달해 왔다. 지형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부터였기 때문에 지형학이 독립과학으로서 자리를 굳혀 온 역사는 짧은 편이다. 그러나 지형에 관한 여러 개념은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싹트기 시작했다. 

헤로도토스는 역사를 저술하여 사학의 시조가 되었지만 지형관찰의 안목도 상당히 높았다. 삼각주, 즉 델타라는 용어도 헤로도토스가 처음 사용했다. 

지리라는 책을 남긴 스트라보는 소아시아에서 이집트와 이탈리아에 걸친 지역을 두루 여행하고 육지가 융기하가나 침강한 예를 들었으며 나폴리 부근의 베수비오산에 오른 후 이 산이 환산이라고 추리해 냈다. 그러나 로마제국이 멸망한 후 오랫동안 기독교의 영향으로 유럽의 지식인들은 지구상의 자연현상에 무관심했다. 

중세에는 아라비아에서 각종 학문의 명맥이 이어졌고, 지형에 관한 아라비아인들의 생각은 진일보하여 현대적 감각마저 풍긴다. 이슬람세계에서 영향력이 상당히 컸던 이븐시나는 지형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면에서도 특출났다. 그의 생각은 백과사전식의 저서인 치료의 서에 나타나 있다. 

댓글